카테고리 없음

[스크랩] 알타이산맥 만년설이 녹아내리고 있다

산돼지 2008. 6. 20. 22:59

알타이산맥 만년설이 녹아내리고 있다

 

알타이산맥 보르항 보다이 산의 만년설. 이제 꼭대기에만 만년설이 남았다.

 

최근 지구온난화로 인한 자연의 역습이 심상치 않다. 미얀마에서는 엄청난 위력의 사이클론이 나라 전체를 덮쳐 인도네시아의 쓰나미 피해 이후 최악의 사망피해를 가져왔고, 미국의 중부지역에서도 강력한 토네이도로 50명이 넘는 희생자가 발생하였다. 사이클론과 토네이도의 피해가 휩쓸고 간 지 얼마 지나지 않아 중국에서는 리히터 규모 7.8의 초강진이 쓰촨 지역에 발생, 수만여 명의 목숨을 앗아갔다. 최근의 자연재해는 상당부분 ‘지구온난화’에 그 원인이 있지만, 그 책임을 져야할 인간의 지구를 괴롭히는 행위는 여전히 계속되고 있다.

 

보르항 보다이 아래서 만난 낙타떼. 만년설산에서 흘러내린 빙하수를 마시고 있다.

 

초원의 사막화, 1천여 개의 강과 호수가 사라졌다

 

지구온난화의 피해는 청정무구한 몽골도 예외가 아니다. 몽골의 수도인 울란바토르에서 차로 닷새를 달려 도착한 알타이에서 나는 온난화로 몸살을 앓는 지구를 실감했다. 길안내를 맡은 몽골 국립대학 한국어과 비지아 교수(37)에 따르면, 최근 8년간 알타이 산맥의 여러 만년설산은 지난 30여 년간 녹은 빙하의 양보다 훨씬 많은 양이 녹아내렸다고 한다. 10여 년 전보다 몽골의 겨울은 피부로 느낄 만큼 따뜻해졌고, 사막화로 황사바람은 더욱 더 기승을 부리고 있다고 한다. 나 또한 알타이 가는 길에 바얀고비에서 길이 보이지 않을 정도의 엄청난 비바람과 황사폭풍을 만났다. 비바람은 낮은 곳에서는 가랑비가 되었다가 언덕에서는 진눈깨비로, 고지대로 올라가면서 함박눈으로 돌변했다.

 

알타이에서 3시간 30분 거리에 있는 보르항 보다이는 외국인이나 관광객이 거의 가지 않는 험로이다. 

 

“올해는 유례없이 가문데다, 최근에는 폭풍에 가까운 황사바람이 계속 불었다. 옛날에는 봄에만 황사가 있었는데, 이제 황사는 눈비가 오는 날을 빼고 사계절 발생하고 있다.” 비지아 교수의 말이다. 최근 몇년간 몽골은 계속해서 봄/여름 가뭄에 시달렸다고 한다. 계속된 가뭄은 몽골의 사막화를 가속화시켰으며, 수백만 마리의 가축 피해로 이어졌다. 국토의 대부분이 초원(준사막)과 사막인 몽골에서는 지난 20여년간 지구온난화로 인한 사막화 현상으로 약 1천여 개의 강과 호수가 말라붙거나 아예 사라졌다고 한다.

 

바얀고비에서 만난 엄청난 황사폭풍(위). 남고비로 흘러가는 유일한 강, 옹기 강은 바짝 말라 곧 사라질 위기에 처해 있다(아래).

 

한국에서는 아직 ‘지구온난화’의 피해를 태풍과 집중호우 등으로 느끼지만, 몽골에서는 가뭄과 황사, 사막화, 빙하의 녹아내림과 겨울 온도 상승 등 다양하게 느끼고 있다. 몽골에는 커다란 두 개의 산맥이 있는데, 그 중 하나가 러시아에서 남고비까지 이어진 알타이 산맥이고, 다른 하나는 몽골 중서부에 걸쳐 있는 항가이 산맥이다. 몽골에서 항가이는 나무가 있는 산, 알타이(몽골어 ‘Altan’은 ‘금으로 이루어진’이란 뜻으로 알타이는 알탄에서 비롯되었다)는 바위가 있는 산을 가리킨다.

 

만년설산 아래 봄풀이 막 돋기 시작한 초원을 지나는 양떼와 염소떼.

 

울란바토르에서 알타이를 가는 가장 쉬운 방법은 비행기를 타고 가는 것이지만, 육로를 이용할 경우 대부분은 항가이 산맥 남쪽 루트를 이용한다. 이 남쪽 루트(약 1000km)는 쉬지 않고 달리면 3일, 평범하게 달려도 4일이 걸린다. 그러나 나는 이 편한 길을 놔두고 닷새나 걸리는 항가이 산맥 북쪽 루트(약 1400km)로 길을 잡았다. 이 길은 알타이를 가려는 여행자들과 현지인들조차 거의 이용하지 않는 ‘사서 고생길’이나 다름없는 험로로 손꼽힌다.

 

보르항 보다이로 가는 황야의 길.

 

그러나 이 길은 산과 협곡, 초원과 습지, 몽골에서 보기 힘든 삼림지대와 크고 작은 강줄기를 차례로 만나며 가는 황금길이나 다름없다. 히터가 들어오지 않는 옛 공산시대의 초대소같은 숙소와 현지인 게르에서, 5월인데도 밤이면 영하 12도까지 내려가는 추위를 침낭 하나로 견디며 나는 꼬박 닷새를 달려 알타이에 도착했다. 오는 동안 다섯 번의 펑크가 났다는 것 빼고는 아무런 사고도 일어나지 않았다. 알타이 산맥의 최고봉 후이툰(4355m) 인근(알타이 시내에서도 하루 반나절은 더 가야 하는 곳)이 고향인 비지아 교수조차 이 북쪽 루트는 처음 경험하는 길이었다.

 

알타이산맥의 만년설산 보르항 보다이 전경. '보다이'는 붓다, 즉 부처를 뜻한다.

 

알타이산맥 만년설, 지난 30년간 녹은 양보다 최근 8년간 녹은 양이 훨씬 더 많다

 

울리아스타이를 지나 알타이 산맥의 항타시르 산이 보이기 시작하자 비지아 교수는 어린시절 이야기를 꺼내며 상념에 젖었다. “어릴 때 알타이 최고봉 만년설산 아래서 말을 탔다. 그 때는 만년설산 빙하가 산 아랫부분까지 뒤덮고 있었다. 그런데 8년 전 고향에 다니러 갔더니 빙하가 산 중턱에 걸쳐 있었다. 그리고 또 요즘에 가서 보니 만년설이 꼭대기밖에 남지 않았다. 최근 8년 동안에 녹아내린 빙하는 그 전 20~30년 동안 녹아내린 것보다 훨씬 많은 양이 녹아내린 셈이다. 남고비 홍고린 엘스로 흐르는 옹기 강도 메말라서 지금 사라질 위기에 처해 있다. 어릴 때에 비하면 지금은 겨울이 엄청 따뜻해졌다.”

 

보르항 보다이 만년설산의 최고봉. 이곳의 만년설은 지구온난화의 피해로 급격하게 사라지고 있다.

 

알타이 산맥에는 모두 800여 줄기, 약 600km2 면적의 빙하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는 수년 전의 보고이므로, 이중 상당수는 이미 사라졌거나 축소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알타이에서 내가 찾아간 보르항 보다이 산(3705m)과 하삭트 하이르항 산(3370m)의 만년설도 이제 꼭대기에만 아슬아슬하게 걸쳐 있을 뿐이다. 알타이에 도착한 이튿날 보르항 보다이 만년설산으로 가는 길에 나는 엄청난 자연현상을 목격했다. 수십 미터 높이로 치솟은 모래기둥이 그것이다. 계곡의 회오리바람이 만들어내는 모래기둥은 순식간에 나타났다가 사라지는 순간의 자연현상이지만, 몽골에서는 아주 흔하게 만나는 풍경이다. 그러나 그것을 찍으려 할 때마다 감쪽같이 사라지는 바람에 그것을 사진에 담지는 못했다.

 

만년설산에서 흘러내리는 빙하수 인근에 터를 잡은 유목민 게르 한 채와 빙하수를 마시는 고원의 낙타떼.

 

초원의 신기루도 몽골초원에서 흔하게 만나는 풍경이다. 아지랑이와 햇빛의 반사가 만들어내는 초원의 신기루는 마치 지평선에 호수가 있거나 물이 흐르는 듯 보이는 게 특징이다. 내 눈에는 이런 풍경이 마냥 신기한 것이지만, 몽골인들에게는 이것이 일상풍경이어서 눈길을 끌지도 못한다. 보르항 보다이로 가는 길은 협곡과 초원과 언덕을 번갈아 건너는 롤러코스트 같은 길이다. 만년설산이 가까워질수록 초원에 보이는 소떼는 야크떼로, 말은 낙타로 바뀌어간다. 몽골 유목민의 삶은 이 높고 깊숙한 곳까지 이어져 만년설산이 보이는 언덕과 구릉에도 드문드문 게르 몇 채가 보인다.

 

양을 치던 양치기가 말을 타고 멀리서 달려와 오랜만에 세상 이야기를 나눈다.

 

멀리 설산이 보이는 언덕에서 양과 염소를 몰던 양치기는 난데없이 설산 아래 차와 사람이 나타나자 말을 타고 달려왔다. 비지아 교수와 운전기사가 양치기와 이야기를 나누는 동안 날씨가 쌀쌀해 나는 교수님이 지피고 간 마른 야크똥 불길에 손을 쬔다. 야크똥은 금세 불이 붙는데다 화력 또한 좋았다. 알타이 숙소로 돌아가는 길에는 중간에 먹을 데가 없어 빙하수가 흘러내리는 개울가에 차를 세우고 물을 끓여 컵라면으로 점심을 떼웠다. 컵라면을 먹는 동안 낙타떼는 어디서 나타났는지 십여 마리 넘게 개울로 모여들어 차디찬 빙하수를 마시고 있다. 불과 40여 미터 위에 녀석들은 자리를 차지하고, 우리가 떠날 때까지 오랜 시간 물을 마셨다.

 

날이 추워 야크똥으로 피운 불(위). 알타이로 길안내를 해준 비지아 교수가 말을 쓰다듬고 있다(아래).

 

염소떼가 몽골의 사막화를 부추긴다

 

알타이에 머문 지 3일째 되는 날은 날씨가 하루종일 흐렸다. 하삭트 하이르항 산으로 가는 동안 눈앞에 보이는 만년설산은 하늘에 뜬 회색구름에 덮여 이따금 모습을 드러냈다. 지나는 초원마다 어김없이 양떼와 염소떼를 만난다. 그런데 초원에서 나는 새로운 사실을 알게 되었다. 그것은 바로 염소떼가 몽골의 사막화를 부추긴다는 이야기였다. 비지아 교수가 들려준 이 이야기는 실제로 몽골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것이기도 했다.

 

하삭트 하이르항 가는 길, 어버(돌서낭당)에서 만난 유목민.

 

“몽골 유목민은 염소와 양을 함께 키우는데, 염소는 전체 무리의 10~20%만 있어야 한다. 양은 식물의 줄기만 잘라먹지만, 염소는 식물의 뿌리까지 캐먹기 때문에 염소가 지나간 자리는 초토화되어 버린다. 그런데 최근 바얀홍고르 등의 대초원에서 염소떼의 수가 급격하게 늘어나고 있다. 이유는 염소털, 즉 캐시미어 때문이다. 양털이 1kg에 100투그릭인 반면, 캐시미어는 1kg에 무려 4만 투그릭이나 한다. 그러니 유목민들이 돈을 벌기 위해 점점 더 많은 염소를 키우기 시작했고, 그로 인해 초원의 사막화는 더욱 심해지고 있다.”

 

하삭트 하이르항 가는 길에 만난 할머니 양치기.

 

하삭트 하이르항 산중 계곡에는 외국인이 아예 오지 않는 휴양소가 자리해 있다. 알타이에서 3시간 거리의 산중에 있는 휴양소를 외국인이 찾아간다는 것도 어려운 일이다. 알타이가 고향인 비지아 교수도 가는 길에 몇 번이나 길을 물어 겨우 찾아갔다. 외국인을 거의 본 적 없는 안내원과 그의 딸과 두 마리의 몽골견은 처음 찾아온 외국인을 위해 양을 몰다 말고 계곡의 길안내를 맡고 나섰다. 여기저기 샘솟는 약수와 나무가 우거진 빙하수 계곡과 여름에도 녹지 않는다는 동굴 얼음까지 다 보여주고서야 안내원은 계곡을 내려갔다.

 

하삭트 하이르항 만년설산 휴양소의 안내원과 그의 딸.

 

알타이 산맥은 거의 한반도 남북 길이 2배 정도인 총길이 2,000km에 이르는 엄청난 규모의 산맥으로, 러시아, 카자흐스탄, 중국에 걸쳐 있지만, 몽골에 가장 넓고 길게 뻗쳐 있다. 알타이 산맥은 고비알타이, 몽골알타이(보통 알타이산맥이라고 함), 소비에트알타이 등 세 지맥으로 나뉘는데, 삼림지대를 이루는 산맥의 서남쪽에 비해 산맥의 북동쪽인 몽골지역은 스텝과 준사막을 이룬 곳이 많다. 환경이 척박한 몽골의 알타이 산맥에는 동물의 분포도 많지 않아서 늑대나 스라소니, 야생염소가 이따금 발견될 뿐이다. 다만 알타이 산맥과 그 부근에는 앞발이 짧은 타라바그 같은 설치류가 많아 이것을 포식하는 솔개와 독수리 등 맹금류가 꽤 많이 분포한다.

 

하삭트 하이르항의 만년설이 흘러내리는 건천에 가까운 개천.

 

사실 알타이는 우리에게 매우 익숙한 이름이다. 학교에서 배운 알타이 어족에 한국어가 속한다는 것 때문이기도 하지만, 한민족의 기원을 연구하는 학자들에게 알타이는 바이칼 호수와 더불어 우리 민족의 발상지로 유력하게 손꼽히는 곳이다. 공교롭게도 알타이족의 시조신화와 부여의 시조신화는 너무나 비슷하다. 알타이족의 시조는 개구리왕 탄자강이며, 부여의 시조 또한 ‘금개구리왕’ 금와왕이다. ‘알타이’의 ‘Altan’이 ‘금으로 이루어진’이란 뜻을 지니고 있으니 ‘탄자강’은 바로 금개구리왕을 뜻하는 것이다.

 

* 구름을 유목하는 옴팔로스:: http://gurum.tistory.com/

Daum 블로거뉴스
블로거뉴스에서 이 포스트를 추천해주세요.
추천하기
출처 : 구름과연어혹은우기의여인숙
글쓴이 : dall-lee 원글보기
메모 :